탄소중립 포인트 녹색생활 실천 시 연간 7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국민이 탄소중립 생활 실천 문화 시 이용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 가입 방법과 참여 방법,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제 홈페이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탄소중립 포인트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란? 국민이 탄소중립 생활 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민간 기업의 친환경 활동 이용 시 이용 실적에 따라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탄소중립 포인트 에너지란? 가정, 상업 등의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및 지역난방 등의 사용량 절감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라 포인트를 발급하고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전국민 온실가스 감축 실천 프로그램입니다.
이런 제도를 활용하면 일상 속에서 탄소를 줄이는 데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금전적인 혜택도 같이 받을 수 있어 알아두면 좋은 제도입니다.
1.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 실천항목
- 텀블러, 다회용컵 이용, 일회용컵 반환, 전자영수증 발급 등을 실천하고 적립금을 받을 수 있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 전자영수증 발급은 자동으로 적립되는 방식입니다.
- 적립된 금액은 현금으로 익월 말 순차적으로 입금됩니다. 지속적으로 참여하면 연간 최대 7만원까지도 가능합니다.
2. 탄소 중립 실천 포인트 참여혜택
- 1인당 연간 최대 7만원까지 지원됩니다.
- 현금이나 카드사 포인트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처음 가입 시 1회 이상 참여하면 실천지원금 1000원 지급해주며 총 10회 참여하면 최대 5000원까지 쌓입니다.
3. 탄소 중립 실천 포인트 참여방법
- 탄소 중립 포인트 에너지 누리집 회원가입을 한다. 방문 신청 시 관할 시· 군·구 담당 부서에 방문하여 참여 신청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단, 서울특별시 거주자는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 (ecomileage.seoul.go.kr)에서 가입)
- 실천항목별 참여방법 <매뉴얼게시판> 확인하나다.
- 녹색생활을 실천합니다.
- 참여 기업을 확인 후 자주 사용하는 기업 앱에서 전자영수증 발급을 신청해두면 알아서 적립이 자동으로 됩니다.
- 실천항목에 따라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 인센티브를 수령합니다.(상반기 인센티브는 당해연도 11~12월에, 하반기 인센티브는 다음연도 5~6월에 지급됩니다.)
- 참여 조건 :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계량기가 부착되어 있거나, 다른 객관적인 방법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확인 가능한 경우
- 참여 대상 : 가정 – 세대주, 세대원/ 상업시설 – 실 사용자/ 개인 : 가정의 세대주(세대 구성원) 또는 학교, 상업시설 등의 실제 사용자
- 가입 시 에너지 고객번호가 필요합니다.
인센티브를 그린카드 포인트로 받으려면?
시중은행(우리, 기업, 국민은행, 농협 등)에서 발급하는 그린카드를 신청하신 후 탄소 중립 포인트 에너지에 가입하시게 되면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에서 발생된 인센티브를 그린카드 포인트로 연 2회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그린카드명의와 탄소 중립 포인트 에너지 참여자 명의가 같을 경우에 한합니다.
전자 영수증 발급 신청하는 방법>>>
자주 이용하는 기업 앱에서 미리 전자영수증 발급을 신청을 해두면 자동으로 알아서 적립이 되어 편합니다.
이마트, 편의점, 홈프러스 등 자주 이용하는 곳의 어플에 들어가서 전자영수증 발급 신청하시면 됩니다.
4.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5. 탄소 중립 실천 포인트 개인정보 수정 바로가기
개인정보 변경 시 (거주지, 연락처, 계좌번호 등)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직접 변경하시면 됩니다.
※ 이사 등으로 거주지 이전 시 전기·수도·가스 고객번호 및 주소 미변경 시 인센티브 지급 대상 불가합니다.
탄소 중립 실천 포인트제 친환경 소비 습관을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돈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제도라 생각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탄소 중립 포인트란 무엇인가요?
국민이 탄소 중립 생활 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민간 기업의 친환경 활동 이용 시 이용 실적에 따라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탄소 중립 포인트 인센티브를 언제 지급하나요?
상반기 인센티브는 당해연도 11~12월에, 하반기 인센티브는 다음연도 5~6월에 지급됩니다.
2025 육아휴직 최신 개정정보 1년 6개월 유급, 사후지급금 폐지